현장(12)
-
프리랜서 엔지니어의 가능성과 로봇 암이 만드는 미래
🛠️ One-Man Manufacturing Era: MCT 기술의 확장성 – 프리랜서 엔지니어의 가능성과 로봇 암이 만드는 미래 기술은 ‘사람 수’의 문제를 넘어 ‘기술력의 응축’으로 변하고 있다. 이제는 1명의 숙련 기술자가 수십 명의 일을 해낼 수 있는 시대. 그 핵심에 있는 장비가 바로 MCT(Machining Center)다.MCT는 공작물의 고정, 공구의 자동 교환, 절삭과정의 프로그램화까지 모두 포함된 복합 장비다. 과거에는 숙련된 오퍼레이터가 일일이 수동으로 해야 했던 작업들이, 이제는 G코드 기반의 명령만으로 순차적, 반복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된다.🧰 1인 제조가 현실이 되는 조건1인 제조가 가능해진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존재한다.- 디지털 제조 기술의 보급: CAD ..
2025.04.24 -
누가 측정하느냐에 따라 치수가 달라질수 있다? : 공장의 정밀 측정도구
가공품 품질 검사 기준이란?– 버니어, 마이크로미터, 실린더게이지까지, 실무 QC의 모든 것가공이 끝났다고 해서 작업이 끝난 것은 아니다.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마지막 관문으로 통과해야 하는 절차가 있다. 바로 ‘품질 검사’다. 머시닝센터에서 가공된 부품은 납품 전 반드시 품질 검사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이 없다면 아무리 정밀하게 깎은 부품이라도, 조립 단계에서 “이거 뭐야?”라는 말 한마디에 다시 가공라인으로 돌아가야 할 수도 있다.📦 품질 검사는 언제, 왜 필요한가?작업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품 가공 → 품질 검사 → 후처리 → 조립 이 중 품질 검사는 가장 조용하지만,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맡는다. 그런데 현실은 다르다. 품질 검사를 현장의 막내나 신입 직원이 담당하는 경우..
2025.04.24 -
CAD. 기계가공도면 꿀팁 : 초보자 환영
초보자를 위한 도면 보는 법– 치수, 공차, 뷰(View)의 이해로 시작하는 가공 입문도면은 가공의 시작이자 끝이다. 그러나 초보자의 입장에서 보면, 숫자와 선으로 가득 찬 도면은 마치 암호문처럼 느껴진다. 그림은 보이지만 이게 앞인지, 뒤인지, 위인지, 아래인지조차 판단이 어려울 때가 많다. ‘공차’라는 단어는 들어본 적도 없고, 뷰(View)의 개념은 더더욱 생소하다. 실제 현장에서 처음 도면을 받아 들었을 때, 무엇부터 읽어야 할지 몰라 한참을 멍하니 바라봤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 막막함은 시간이 지나면서 실수를 통해, 하나씩 이해로 바뀌었고 그 경험은 지금도 후배들에게 설명해줄 때 가장 좋은 교재가 된다.이 글에서는 도면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로서, 이론보다는 실제 가공 현장에..
2025.04.24 -
현장에서 제일 중요한것 -Safety first
가공 현장의 안전수칙 총정리– 경험에서 우러난 실전 안전 가이드가공 현장은 언제나 위험과 맞닿아 있습니다. 수많은 회전하는 공구, 무거운 소재, 빠르게 움직이는 기계들 속에서 우리는 매일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사고는 우리가 방심하는 순간,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찾아옵니다. 이 글은 현장에서 직접 겪었던 사건들과 주변에서 본 사고들을 토대로 정리한 실전 안전 가이드입니다. ⚠ 나의 실제 사고 경험들1. 무거운 소재 낙하 사고크레인을 사용해 무거운 소재를 옮기던 중, 자력 자석을 풀고 바로 들어야 하는데 급한 마음에 그대로 들었다가 소재가 허벅지를 가격해 피멍이 들고 며칠을 절뚝거린 적이 있습니다. 이때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게 다행이었습니다. 사고를 한번 크게 당하는순간 사람은 머리속 텅비고 ..
2025.04.23 -
짜장이냐 짬뽕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머시닝센터 범용 vs cnc밀링
머시닝센터와 범용밀링기의 차이 및 장단점– 개념 구분과 현장 적용금속 가공 현장에서 작업자는 의뢰가 들어올 때 마다 어떻게 작업을 할지 고민을 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결정 중 하나가 바로 ‘범용 밀링기로 처리할까, 머시닝센터로 바로 넘길까?’ 하는 판단이다. 이 두 장비는 외형상으로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구조부터 가공 방식, 효율, 정밀도, 반복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각각의 장비가 가진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야말로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잡는 핵심 전략이다. 이 글에서는 머시닝센터와 범용 밀링기의 개념을 비교하고,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병행 적용되는지를 상세히 살펴본다.1. 기본 개념부터 구분하자✅ 범용 밀링기(Universal ..
2025.04.22 -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현장 실수 TOP5와 해결법– 내가 직접 겪은 실패에서 배우기누구나 실수는 한다. 하지만 금속 가공 현장에서는 그 실수가 곧 돈이고, 시간이며, 고객 신뢰다. 지금 소개할 사례들은 내가 현장에서 직접 겪은 실수들이다. 말 그대로 가슴 철렁한 순간들이었고, 다시는 겪고 싶지 않지만 동시에 가장 많이 배운 순간들이기도 하다. 실수도 기술이다. 기억하고 분석하고 복기하면 다음엔 안 할 수 있다. 이 글은 현장 초보자부터 숙련 기술자까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실전 중심의 기록이다.1. 탭 피치 오류로 인한 탭 파손사건: 4000x1800x15T 대형 스틸 플레이트에 탭 가공을 진행 중, 탭 피치를 잘못 기억해 G코드를 작성했고, 그 결과 탭이 재료 안에서 부러지는 대형 사고 발생.현장 상황: 멘탈 붕괴. 눈앞..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