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6)
-
스마트 팩토리 어떻게 시작하지?
📘 스마트팩토리 도입 단계별 가이드중소 제조기업을 위한 실전 전략스마트팩토리는 단순히 자동화 설비를 갖추는 것을 넘어,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스로 최적화하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많은 중소기업에게는 여전히 낯설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막막하기만 합니다.이 글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팩토리를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실전적인 5단계 로드맵을 소개합니다.1단계: 현재 상태 진단 – 문제를 모르면 해결도 없다첫 단추는 항상 현 상태 파악입니다.내 공장에서 어떤 공정이 수작업 중심인지, 데이터는 얼마나 수집되고 있는지, 공정별 병목은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점검 항목수작업 비율이 높은 공정은?불량률은 공정별로 어떻게 나오는가?데이..
2025.04.25 -
현장에서 제일 중요한것 -Safety first
가공 현장의 안전수칙 총정리– 경험에서 우러난 실전 안전 가이드가공 현장은 언제나 위험과 맞닿아 있습니다. 수많은 회전하는 공구, 무거운 소재, 빠르게 움직이는 기계들 속에서 우리는 매일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사고는 우리가 방심하는 순간,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찾아옵니다. 이 글은 현장에서 직접 겪었던 사건들과 주변에서 본 사고들을 토대로 정리한 실전 안전 가이드입니다. ⚠ 나의 실제 사고 경험들1. 무거운 소재 낙하 사고크레인을 사용해 무거운 소재를 옮기던 중, 자력 자석을 풀고 바로 들어야 하는데 급한 마음에 그대로 들었다가 소재가 허벅지를 가격해 피멍이 들고 며칠을 절뚝거린 적이 있습니다. 이때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게 다행이었습니다. 사고를 한번 크게 당하는순간 사람은 머리속 텅비고 ..
2025.04.23 -
짜장이냐 짬뽕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머시닝센터 범용 vs cnc밀링
머시닝센터와 범용밀링기의 차이 및 장단점– 개념 구분과 현장 적용금속 가공 현장에서 작업자는 의뢰가 들어올 때 마다 어떻게 작업을 할지 고민을 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결정 중 하나가 바로 ‘범용 밀링기로 처리할까, 머시닝센터로 바로 넘길까?’ 하는 판단이다. 이 두 장비는 외형상으로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구조부터 가공 방식, 효율, 정밀도, 반복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각각의 장비가 가진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야말로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잡는 핵심 전략이다. 이 글에서는 머시닝센터와 범용 밀링기의 개념을 비교하고,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병행 적용되는지를 상세히 살펴본다.1. 기본 개념부터 구분하자✅ 범용 밀링기(Universal ..
2025.04.22 -
ㅇㅇ만 알면 가공이 쉬워진다?
금속 소재별 특성과 가공 차이– 알루미늄, 철(스틸), 스테인리스, 그리고 실무자의 판단 기준금속 가공을 하다 보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소재'다. 소재에 따라 절삭 조건, 공구 선택, 냉각 방식까지 전부 달라진다. 아무리 좋은 장비, 숙련된 작업자라도 소재 특성을 무시하면 결과는 불량의 연속이다.특히 절삭 가공에서는 재료가 가진 '열전도율', '가공경화 성향', '칩 배출성', '인장강도', '비중' 등 다양한 물성 특성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이 모든 요소는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라, 우리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공구를 선택하고 절삭 전략을 짤지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나는 처음 알루미늄을 깎다가 칩이 공구에 눌어붙어 엔드밀 두 개를 하루 만에 날린 적이 있다. 그 다음날엔 스테인리스를..
2025.04.22 -
도면!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 도면공차와 가공공차
공차에 대해 이야기하려니 솔직히 막막하다. 기계 가공을 하면서 수많은 공차 관련 문제를 겪었고, 그 중 몇 번은 정말 작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날리는 큰 불량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건 단순히 실수 한두 번으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공차 하나 잘못 이해하거나 무심코 넘기면, 수십 시간 공들인 작업이 물거품이 되는 건 순식간이다.예를 들어 설계자는 설계대로 도면을 그려놓았지만, 작업자는 그것을 해석하고 실제로 가공해야 한다. 이때 공차의 해석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아주 미세한 수치 차이로 인해 제품은 조립되지 않거나, 설계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가공 실무를 조금이라도 해본 사람이라면 '공차'라는 단어가 얼마나 무겁고 민감한 것인지 알 것이다.특히 공차는 단순히 수치를 다루는 문제가 아..
2025.04.21 -
가공 조건 잡기 : 이만큼 더 보낼 수 있다고?
1. 절삭속도(Cutting Speed, Vc)절삭속도는 공구가 공작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로, 일반적으로 미터/분(m/min) 또는 피트/분(ft/min) 단위로 표현됩니다. 이는 공구의 직경과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Vc = π × D × N / 1000Vc: 절삭속도 (m/min)D: 공구 직경 (mm)N: 회전수 (RPM)절삭속도는 가공할 소재의 종류와 공구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은 높은 절삭속도를 허용하지만, 스틸은 상대적으로 낮은 절삭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2. 회전수(Spindle Speed, RPM)회전수는 공구가 1분 동안 회전하는 횟수로, 절삭속도와 공구 직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음과 같은 공식..
2025.04.19